여름이 되면 수영장이나 워터파크에서 물놀이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물놀이를 하다가 눈이 충혈되고 눈곱이 껴서 아프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감염성 결막염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감염성 결막염은 무엇인지, 어떻게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감염성 결막염이란?
감염성 결막염의 원인과 증상
감염성 결막염의 예방과 치료
마무리
감염성 결막염이란?
감염성 결막염은 눈의 표면을 보호하는 얇은 막인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감염을 일으키는 다양한 바이러스나 세균, 진균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감염성 결막염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쉽게 전염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감염성 결막염의 원인과 증상
감염성 결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입니다. 특히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성 결막염은 여름철 사람들이 붐비는 수영장이나 워터파크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성 결막염은 어른의 경우에는 눈에만 증상이 나타나지만, 아이들은 고열, 인후통, 설사 등 전신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감염성 결막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눈이 빨갛게 충혈되고 가려움증을 느낍니다.
- 눈곱이 많이 껴서 아침에 눈을 뜨기 어렵습니다.
- 이물감이나 통증을 느낍니다.
-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염성 결막염의 예방과 치료
감염성 결막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라야 합니다.
- 손을 자주 씻고 소독제를 사용합니다.
- 수영장이나 워터파크에서는 안경을 착용하거나 눈을 비비지 않습니다.
- 수건이나 베개, 안경 등은 개인별로 따로 사용하고 깨끗이 관리합니다.
- 눈에 이물질이 들어가면 깨끗한 물로 씻어냅니다.
- 감염성 결막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라야 합니다.
-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적절한 안약을 사용합니다.
- 가성막이나 막이 있으면 면봉으로 제거합니다.
- 얼음찜질이나 뜨거운 수건을 눈에 올려 증상을 완화합니다.
- 2가지 이상의 안약을 넣을 때는 5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점안합니다.
- 안약병 입구 쪽이 눈에 닿지 않게 주의합니다.
마무리
오늘은 감염성 결막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염성 결막염은 여름철 물놀이를 하다가 쉽게 걸릴 수 있는 질환입니다. 감염성 결막염에 걸리면 눈이 충혈되고 눈곱이 껴서 아프게 되므로, 예방과 치료에 신경 써야 합니다. 감염성 결막염이 의심되면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