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초복 삼계탕이 왜 식중독을 일으킬까?
-삼계탕을 조리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일까?
-삼계탕을 먹을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일까?
-삼계탕 식중독에 걸렸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마치며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초복인데요,
초복이란 한 해 중 가장 더운 날이라고 해서 보양식으로 삼계탕을 먹는 날입니다. 삼계탕은 닭고기와 인삼, 대추, 마늘 등의 재료로 만든 국물 요리로, 영양분이 풍부하고 체력을 회복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삼계탕을 잘못 조리하거나 먹으면 식중독에 걸릴 수도 있습니다.
식약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캠필로박터로 인한 식중독은 총 88건 발생했고 환자 수는 2157명이었습니다.
이 중 7월에만 983명 (34건)의 환자가 발생해 전체 발생 환자 수의 4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캠필로박터는 닭, 오리 등의 가금류와 야생조류 등의 내장에서 많이 발견되는 세균으로, 도축 과정 중 식육으로 옮겨지기 쉽습니다. 주요 증상은 복통, 설사, 발열 등입니다. 그렇다면 초복 삼계탕을 먹고 식중독에 걸리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삼계탕을 조리하고 먹을 때 주의할 점과 식중독에 걸렸을 때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초복 삼계탕이 왜 식중독을 일으킬까?
초복 삼계탕이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닭고기에 있습니다. 닭고기는 다른 육류보다 세균이 많이 붙기 쉬운데요,
특히 캠필로박터는 닭고기의 표면이나 내장에 많이 붙어 있습니다. 닭고기를 완전히 익히지 않고 섭취하거나,
닭 등을 세척한 물이 다른 식자재에 튀어 교차 오염으로 식중독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날씨가 덥고 습해서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라서 식중독이 더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복 삼계탕을 먹을 때는 닭고기의 관리와 조리에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삼계탕을 조리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일까?
삼계탕을 조리할 때는 캠필로박터균 등의 교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첫째, 음식을 조리하기 전에는 비누 등 손 세정제를 이용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깨끗하게 손을 씻어야 합니다.
-둘째, 생닭 등을 만진 후에도 반드시 다시 손을 씻은 후 다른 식재료를 취급해야 합니다.
-셋째, 생닭 등을 세척한 물이 다른 식재료나 이미 조리된 음식에 튀어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넷째, 냉장고에 보관할 때는 생닭의 핏물이 다른 식품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고의 제일 아래 칸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섯째, 삼계탕 등을 조리할 때는 채소류를 먼저 다듬어 준비하고, 칼, 도마 등 조리도구를 육류, 생선, 채소·과일 등
식재료별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삼계탕을 먹을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일까?
삼계탕을 먹을 때는 닭고기가 완전히 익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닭고기가 익었다면 고기가 흰색이고 육즙이 투명하게 나옵니다. 반대로 닭고기가 익지 않았다면 고기가 붉은색이거나 육즙이 붉게 나옵니다. 닭고기를 완전히 익히려면 중심 온도가 75℃ 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조리해야 합니다.
또한, 삼계탕 국물도 충분히 끓여야 합니다. 국물이 잘 익었다면 국물이 탁하고 짙은 색깔이 됩니다. 반대로 국물이 잘 익지 않았다면 국물이 투명하고 연한 색깔이 됩니다. 국물을 잘 익히려면 식자재가 충분히 잠길 수 있는 크기의 용기로 내부까지 골고루 익혀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삼계탕을 남겨두지 않고 바로 먹거나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남겨둔 삼계탕은 세균이 번식하기 쉽습니다. 보관할 때는 반드시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하거나 냉동해야 합니다.
삼계탕 식독에 걸렸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삼계탕 식중독에 걸렸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합니다. 캠필로박터 식중독은 복통, 설사,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요,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되면 탈수나 혈액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의료기관에서는 증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탈수가 있으면 수액을 투여하거나, 감염이 있으면 항생제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식중독이 의심되면 식중독균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식중독균 검사는 대변이나 혈액을 채취하여 세균의 종류와 양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치료나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을 찾기 전에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첫째, 물이나 스포츠 음료 등으로 충분히 수분을 보충해야 합니다. 탈수가 심하면 구토나 설사가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둘째, 가벼운 음식을 섭취해야 합니다. 삼계탕이나 기름진 음식은 소화가 잘 되지 않고 위장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밥, 국수, 토스트 등의 부드러운 음식을 조금씩 먹는 것이 좋습니다.
-셋째, 알코올이나 카페인을 피해야 합니다. 알코올이나 카페인은 수분 손실을 증가시키고 위장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이나 스포츠 음료 외에는 다른 음료를 마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며
오늘은 초복 삼계탕 먹고 식중독 걸리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삼계탕은 영양분이 풍부하고 맛있는 보양식이지만, 잘못 조리하거나 먹으면 식중독에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닭고기의 관리와 조리에 주의하고, 완전히 익혀서 먹어야 합니다. 만약 식중독에 걸렸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하며, 그 전에는 수분 보충과 가벼운 음식 섭취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여러분도 초복에 건강하게 삼계탕을 먹고,
무더운 여름을 잘 이겨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